“수익이 생기면 소비보다 투자부터 생각하기”
“소득보다 중요한 건 자산화다.”
왜 이 루틴을 오늘부터 시작해야 할까?
월급날만 기다리고,
들어온 돈은 고스란히 카드값과 생활비로 사라지는 일상.
통장은 계속 제자리인데, 왜 나는 ‘열심히’ 사는데도 불안할까?
『돈의 속성』은 단호하게 말합니다.
“소득이 생겼을 때 소비하면 끝이고,
자산으로 바꾸면 시작이다.”
부자는 더 많이 버는 사람이 아니라,
돈이 들어왔을 때 자산화하는 습관이 몸에 밴 사람입니다.
- “돈이 생겼을 때 어디에 쓰느냐가, 그 사람의 경제 수준을 결정한다.”
- 소득을 자산으로 바꾸는 사람만이 부자가 된다
- 자산화는 ‘지금 가진 것’으로부터 시작된다
루틴 ①: 수입 발생 시 10% 자동 자산화 루틴
실천 방법:
- 월급 / 수익 / 용돈이 들어올 때
→ 첫 10%를 자산 항목으로 ‘먼저’ 분리 - 활용 예시:
– 증권 계좌로 이체 → ETF 자동 투자
– CMA 계좌로 이체 → 단기 여유 자금 확보
– 사업 계정에 넣고 ‘레버리지 기획’에 쓰기 - 금액보다 행동의 우선순위가 중요
→ “내 소비는 남은 걸로 한다”는 원칙을 반복 훈련
✔ 소득 → 자산의 자동 연결 루틴을 만들면,
‘소비 반사’에서 ‘투자 반사’로 뇌가 재구성됩니다.
루틴 ②: 소비 전 ‘자산 필터링’ 3초 질문 루틴
실천 방법:
- 돈을 쓸 때마다 스스로에게 질문:
– “이건 소비인가, 자산화인가?”
– “이건 나에게 남는가, 흘러가버리는가?” - 기준이 모호하다면 이렇게 분류:
– 자산: 나중에 되팔 수 있는 것 / 수익을 가져다주는 것
– 소비: 사용과 동시에 사라지는 것 / 충동적 만족 - 하루 1번, 내 소비 중 자산이 된 항목 1개 적기
✔ 판단 기준을 반복하면,
소비에 대한 감각이 ‘자동 절제’로 진화합니다.
실천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미래
소득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자산은 습관의 누적 결과입니다.
한 달에 10만 원이라도
자동으로 자산화되는 구조가 만들어진다면,
1년 후, 그 사람은 지출이 아닌 잔고로 말하는 사람이 됩니다.
“돈은 당신의 선택을 반영한다.
소비냐, 자산이냐는 매번 선택의 결과다.”
– 김승호, 『돈의 속성』
🔖 책 정보 및 저작권 안내
- 인용 출처: 『돈의 속성』 – 김승호 저 / 스노우폭스북스
- 본 포스팅은 저작권법 제28조 ‘공표된 저작물의 인용’ 조항에 따라,
비영리적 목적, 공정한 범위 내 요약 및 출처 명시를 전제로 작성되었습니다. - 본문 내용은 책의 핵심 메시지를 바탕으로 실천 방법을 재구성한 콘텐츠입니다.
- 상업적 목적의 무단 복제 및 원문 전재는 금지됩니다.
'"실천, 성장, 자기계발, 부자" 루틴 > 부의 실천 루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찰리 멍거가 매일 실천한 3가지 판단력 루틴 – 투자보다 중요한 생각 훈련” (21) | 2025.04.25 |
---|---|
『리스타트』에서 배우는 삶을 다시 시작하는 습관 (25) | 2025.04.21 |
《디지털 노마드》개념에서 찾은 3단계 부의 루틴 (7) | 2025.04.17 |
《맥스웰 몰츠의 성공의 법칙》에서 찾은 자아상 설계 루틴 (51) | 2025.04.15 |
《습관의 디테일》에서 찾은 작은 루틴의 위력 (32) | 2025.04.14 |